설 연휴가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이 귀성이나 여행을 계획하게 됩니다. 이때 주차 공간이 부족해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으시지요? 이번 설에는 전국의 행정기관, 공공기관, 학교 등에서 총 1만 4천여 개의 공공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합니다.
주요 지역별 무료 개방 주차장 자세한 주소 정보로 빠르게 검색해보세요!
편리하게 주차장 찾는 방법! 그리고 꿀팁!
공유누리 웹사이트
공공자원의 개방 정보를 제공하는 공유누리에서 '명절 주차장' 또는 '공공주차장'을 검색하시면 지역별 주차장 목록과 상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가로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주차장 혼잡도
인기 있는 주차장은 빠르게 만차가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이른 시간에 도착하시거나 대중교통과 병행하여 이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대체 주차장
목적지 주변 주차장이 만차일 경우를 대비하여 인근의 다른 무료 개방 주차장 위치를 미리 파악해 두시면 편리합니다.
실시간 정보 확인
일부 지도 앱에서는 주차장 혼잡도나 실시간 이용 가능 여부를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주차 계획을 세우실 수 있습니다.
지역 행사 정보
설 연휴 기간 동안 일부 지역에서는 행사나 축제로 인해 교통이 통제되거나 주차장이 추가로 개방될 수 있으니, 해당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공지사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무료 공공주차장 이용 정보
이용 가능 기간: 1월 27일(월)~1월 30일(목) 까지
1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됨에 따라 개방 기간 확대되었습니다.
정보 제공 시작일: 1월 24일(금)부터 조회 가능합니다.
지도 애플리케이션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 티맵, 현대차 내비게이션, 아이나비 에어 등 주요 지도 앱에서 '명절 주차장' 또는 '공공주차장'을 검색하여 위치와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용 시 유의사항
위치, 개방일자, 이용시간, 무료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하세요.
주차장은 선착순으로 이용되므로, 혼잡 시간대를 피하면 더 편리합니다.
안전한 주차와 시설 이용을 위해 공공시설 운영 방침을 준수해주세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구청 주차장: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 248
홍제천 공영주차장: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276-1
북아현동 공영주차장: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1-1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은 설 연휴 기간 동안 학교 주차장과 운동장을 무료로 개방합니다. 이용을 원하는 주민과 역귀성객은 교육청 홈페이지 내 알림판을 통해 개방 대상 학교와 개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14,000여 개의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설공단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군포고가교밑1 주차장: 경기도 군포시 공단로 109
금정역제1 주차장: 경기도 군포시 공단로 304
군포고가교밑2 주차장: 경기도 군포시 공단로 110
송죽 주차장: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609번안길 12
경안시장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
경안 배수펌프장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
곤지암 배수펌프장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광주역세권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역동
상번천리 공영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상번천리
송정동 마을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
양벌동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양벌동
(구) 3번종점 역동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역동
호국보훈공원 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중대동
곤지암 제1공영주차장: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화성도시공사는 설 연휴 기간 동안 공원 부설주차장 15개소를 무료로 개방합니다.
의왕시 의왕시는 관내 노상주차장 31개소, 노외주차장 22개소 총 53개소를 무료로 개방합니다. 다만, 내손중앙2길, 내손순환로, 계원대학로 등 일부 주차장은 제외되므로,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기도 내 여러 시군에서도 무료 개방 주차장을 운영합니다. 각 시청 홈페이지에서 지역별 주차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천시
부천시청 주차장: 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210
원미구청 주차장: 경기도 부천시 부천로 136
소사구청 주차장: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 92
오정구청 주차장: 경기도 부천시 성오로 172
도당어울마당 주차장: 경기도 부천시 삼작로 22
부산광역시
부산시청 주차장: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해운대구청 주차장: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2로 11
수영구청 주차장: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183
부산시는 시 소유의 공영주차장을 연휴 기간 동안 무료로 개방합니다. 또한 여러 공공기관과 학교의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합니다.
특히, 해운대와 광안리 지역은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므로 주차 공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대구광역시
대구시청 주차장: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북구청 주차장: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65
수성구청 주차장: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50
대구시는 관내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의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하여 귀성객들의 주차 편의를 돕습니다.
광주광역시
광주시청 주차장: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동구청 주차장: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로 1
서구청 주차장: 광주광역시 서구 경열로 33
광주시는 설 연휴 동안 교육기관의 주차장을 포함한 여러 공공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합니다. 특히, 학교 주차장과 운동장을 개방하여 주민들의 주차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대전시청 주차장: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00
유성구청 주차장: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 42
서구청 주차장: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로 123
대덕구청 주차장: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로 987
인천광역시
인천시청 주차장: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부평구청 주차장: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168
미추홀구청 주차장: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 312
계양구청 주차장: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대로 59
인천시는 공공기관과 학교의 주차장을 개방하며, 특히 인천 송도 지역의 주차 공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울산광역시
울산시청 주차장: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북구청 주차장: 울산광역시 북구 산업로 1010
중구청 주차장: 울산광역시 중구 단장골길 1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시청 주차장: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
고운동복합커뮤니티센터 주차장: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남로 30
도담동 복합커뮤니티센터 주차장: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로 30
강원도
춘천시청 주차장: 강원도 춘천시 시청길 11
강릉시청 주차장: 강원도 강릉시 강릉대로 33
원주시청 주차장: 강원도 원주시 시청로 1
경상남도
경상남도는 주요 시·군의 공공시설 및 공영주차장을 무료로 운영합니다:
창원시청 주차장: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151
김해시청 주차장: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1
진주시청 주차장: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155
경상북도
포항시청 주차장: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시청로 1
구미시청 주차장: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 22
안동시청 주차장: 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15
경상북도 각 지역별 세부 목록은 경북도청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주차장: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로 112
서귀포시청 주차장: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앙로 101다.
무료 개방 주차장 이용할 때의 유의사항
차량 제한
일부 주차장은 15인 이하 승용·승합차 및 1톤 이하 화물차량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설물 보호
주차장 내 시설물 훼손이나 쓰레기 무단 투기 행위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운영 시간 확인
주차장마다 개방 시간과 기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안전 주의
주차 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정된 구역에 주차하고, 보행자 통로를 막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많이 궁금해하는 질문과 답변들
Q. 설 연휴 동안 무료 개방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고, 며칠 동안 이용하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A. 대부분의 무료 개방 주차장은 단기적인 방문과 주차를 목적으로 개방되며, 장기간 연속 주차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일부 주차장에서는 차량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연속 주차에 제약을 둘 수도 있으니, 주차장을 이용하기 전에 해당 주차장의 이용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차량이 방치된 것으로 오해받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Q. 무료 개방된 공공주차장에서 전기차 충전 시설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나요?
A. 주차 공간 자체는 무료로 개방되지만, 전기차 충전은 별도의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전 비용은 해당 충전기의 운영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설 연휴 전, 사용하려는 주차장의 전기차 충전 가능 여부와 요금 체계를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Q. 설 연휴 기간 동안 무료 개방된 공공주차장에 주차해 둔 차량이 파손되었을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나요?
A. 무료로 개방된 주차장은 대부분 "차량의 손상 및 도난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는 이용 조건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주차장 관리 주체가 파손된 차량에 대해 보상 책임을 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차 전에 차량 내부 귀중품을 제거하고, CCTV가 있는 곳에 주차하는 등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관할 기관이나 경찰에 신고해 해결해야 할 수 있습니다.